노인 삶의 질 향상... &노인상담 시스템 구축& 돼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한재협 작성일08-06-03 00:00 조회17,449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노인상담이 좌절하는 노인에게 효과적인 치료제 역할을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따라서 노인상담을 전문적으로 하는 전문기관과 상담 전문가 양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경기도 노인종합상담센터 김은주 부장은 지난 23일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 대회에서 ‘노인상담 현황과 활성화’라는 주제 발표에서 경기도 노인 8000명에 대한 심리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이 말했다.
김 부장에 따르면 조사대상 노인의 20.6%가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대상자의 5.7%가 자살을 시도했다고 응답했다.
그는 현재 노인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서비스는 일부 저소득 노인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일자리 창출, 여가 지원 등의 간접적이고 환경적인 개입과 노인 학대 발생 후 요보호 노인에 대한 사후 개입 중심으로 이뤄진다고 진단했다.
이에 보다 광범위한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정서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심각한 노인문제에 대한 예방적 차원에서 노인상담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 노인종합상담센터가 2005년 조사한 바에 따르면 노인상담업무를 실시하고 있는 전국의 시설은 경기도가 55곳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40곳, 전라도 22곳, 경상도 21곳, 충청도 15곳, 대구와 광주 11곳, 강원도 9곳, 부산 8곳, 제주도 5곳 대전과 울산 3곳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은 노인복지회관이 31.4%였고 다음이 무료요양시설(28.1%), 무료 양로시설(15.2%), 종합사회복지관 (11.9%)순으로 나타났다.
상담원의 최종학력 전공은 사회복지학이 88.6% 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심리학과 상담을 전공한 사람은 전체 조사대상의 5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노인상담업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상담 시 어려운 점으로 업무중복과 전문성 결여, 노인과의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뽑았다.
상담원들이 업무와 관련, 지적한 건의사항으로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상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경기도 노인종합상담센터 김은주 부장은 노인 상담 활성화를 위해 “광역단위의 전문 노인상담기관이 설립돼야 하며, 지자체의 재정지원과 행정지원이 이뤄져야 하고, 다른 전문기관과의 지원체계 네트워크의 구축, 노인상담 전문인력의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노인 상담은 노인과 그들 가족에게 인간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한다”며 “상담을 통해 노인의 실질적 욕구와 변화되는 욕구를 빨리 인지해 보다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보건복지가족부 노인지원과 이상인 과장은 “노인상담이 효과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데는 초고령 노인의 고집과 낡은 사고방식, 상담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며 “이러한 문제는 노인상담의 전문성 강화를 통해 극복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러나 “노인전문상담기관의 설치문제는 여러 제반 기능들이 얽혀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설립운영 주체와 재원조달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복지뉴스 2008-05-26>
경기도 노인종합상담센터 김은주 부장은 지난 23일 한국노년학회 춘계학술 대회에서 ‘노인상담 현황과 활성화’라는 주제 발표에서 경기도 노인 8000명에 대한 심리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이같이 말했다.
김 부장에 따르면 조사대상 노인의 20.6%가 우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대상자의 5.7%가 자살을 시도했다고 응답했다.
그는 현재 노인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서비스는 일부 저소득 노인을 위한 경제적 지원과 일자리 창출, 여가 지원 등의 간접적이고 환경적인 개입과 노인 학대 발생 후 요보호 노인에 대한 사후 개입 중심으로 이뤄진다고 진단했다.
이에 보다 광범위한 일반 노인을 대상으로 정서적인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심각한 노인문제에 대한 예방적 차원에서 노인상담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기도 노인종합상담센터가 2005년 조사한 바에 따르면 노인상담업무를 실시하고 있는 전국의 시설은 경기도가 55곳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이 40곳, 전라도 22곳, 경상도 21곳, 충청도 15곳, 대구와 광주 11곳, 강원도 9곳, 부산 8곳, 제주도 5곳 대전과 울산 3곳으로 나타났다. 기관유형은 노인복지회관이 31.4%였고 다음이 무료요양시설(28.1%), 무료 양로시설(15.2%), 종합사회복지관 (11.9%)순으로 나타났다.
상담원의 최종학력 전공은 사회복지학이 88.6% 으로 다수를 차지했으며 심리학과 상담을 전공한 사람은 전체 조사대상의 5명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
또 노인상담업무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상담 시 어려운 점으로 업무중복과 전문성 결여, 노인과의 의사소통의 어려움 등으로 뽑았다.
상담원들이 업무와 관련, 지적한 건의사항으로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상담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경기도 노인종합상담센터 김은주 부장은 노인 상담 활성화를 위해 “광역단위의 전문 노인상담기관이 설립돼야 하며, 지자체의 재정지원과 행정지원이 이뤄져야 하고, 다른 전문기관과의 지원체계 네트워크의 구축, 노인상담 전문인력의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노인 상담은 노인과 그들 가족에게 인간적인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노인이 갖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데 커다란 역할을 한다”며 “상담을 통해 노인의 실질적 욕구와 변화되는 욕구를 빨리 인지해 보다 질적으로 높은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보건복지가족부 노인지원과 이상인 과장은 “노인상담이 효과적으로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데는 초고령 노인의 고집과 낡은 사고방식, 상담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영향을 미친다고 본다”며 “이러한 문제는 노인상담의 전문성 강화를 통해 극복될 것”이라고 피력했다.
그러나 “노인전문상담기관의 설치문제는 여러 제반 기능들이 얽혀 있으므로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며 “설립운영 주체와 재원조달 방법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복지뉴스 2008-05-26>